반응형
삼성전자, 장 초반 급등…엔비디아 ‘GTC 2025’ 영향 - 매일경제
SK하이닉스·한미반도체도 동반 상승
www.mk.co.kr
SK하이닉스의 AI 메모리 솔루션 전망
🚀 HBM 시장 강자, SK하이닉스의 전략은?
AI 반도체 시대, 초고속·고용량 메모리가 필수다.
SK하이닉스는 HBM(High Bandwidth Memory) 기술 선도 기업으로, 엔비디아·AMD·인텔 등 글로벌 AI 기업에 메모리를 공급하고 있다.
2025년 이후, SK하이닉스의 AI 메모리 전략과 시장 전망을 살펴보자.
🔹 1. HBM 시장 점유율 1위, SK하이닉스의 강점
💡 HBM(High Bandwidth Memory)이란?
- 기존 DRAM보다 속도 10배↑, 전력 효율 개선
- AI GPU, 데이터센터, 슈퍼컴퓨터 필수 메모리
📌 SK하이닉스의 경쟁력
- HBM3E(Enhanced) 양산, 엔비디아에 공급
- HBM4 개발 중, 2026년 출시 예정
- HBM 시장 점유율 1위 유지 (약 50%)
🔹 2. AI 전용 DRAM ‘PIM’ – 연산 속도 혁신
💡 PIM(Processing In Memory)이란?
- 메모리 자체에서 데이터 연산 가능 (CPU/GPU 의존도↓)
- AI 모델 학습·추론 속도 2배 증가
📌 기존 DRAM과 차이점
- 기존 DRAM: 데이터 저장 기능
- PIM DRAM: 데이터 저장 + 연산 가능
-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 ↓, 속도 ↑
🔹 3. 초저전력 ‘LPDDR5X’ – 모바일 AI 확장
💡 LPDDR5X란?
- 스마트폰·태블릿용 저전력 DRAM
- AI 연산 최적화, 배터리 효율 개선
📌 AI 칩과의 결합
- 퀄컴 스냅드래곤, 애플 M 시리즈에 공급
- AI 스마트폰·엣지 컴퓨팅 시장 공략
📌 마무리 – SK하이닉스의 AI 메모리 전망
✅ HBM 시장 점유율 1위 유지
✅ HBM3E → HBM4로 AI 반도체 최적화
✅ PIM DRAM으로 AI 서버 전력 절감·속도 향상
✅ 모바일 AI용 LPDDR5X 공급 확대
📖 출처
- SK하이닉스 공식 블로그: https://blog.skhynix.com/
- 반도체 산업 보고서 (2025)
반응형
'스마트한 세상 적응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의성 산불, 태풍급 서풍 타고 영덕까지 확산…산림청 “예측 어려웠다” (0) | 2025.03.27 |
---|---|
경북 안동·청송·영양·영덕, 산불 피해로 ‘특별재난지역’ 추가 지정 (0) | 2025.03.27 |
엔비디아 GTC 2025에서 발표될 AI 반도체 기술 (1) | 2025.03.17 |
삼성전자 주가 급등! 엔비디아 GTC 2025 기대감 반영 (0) | 2025.03.17 |
홈플러스 채권 사태: 기업회생 절차와 채권자의 선택 (1) | 2025.03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