✅ 의성 산불, 태풍급 서풍 타고 영덕까지 확산…산림청 “예측 어려웠다”
2025년 3월 27일,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풍을 타고 영덕까지 확산되며 산림청의 산불 예측 한계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.
📌 산불 발화와 확산 경로
- 최초 발화: 3월 21일경,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묘소 인근
- 확산 경로: 의성 → 청송 → 영양 → 영덕
- 확산 거리: 약 80km 이상
- 확산 속도: 평균 시속 8.2km, 역대 최고 수준
- 영향 바람: 서풍, 초속 27m (태풍급 강풍 수준)
산림청 발표에 따르면, 위성과 기상 정보를 활용한 예측 시스템이 이번 산불의 영덕 확산까지는 정확히 예측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.
📡 위성 열 탐지 시스템의 한계
- 사용 위성: 미국 S-NPP 위성 (가시적외선 센서 활용)
- 탐지 주기: 하루 2회 (오전/오후 12시간 간격)
- 활용 목적: 열 분포 분석을 통한 산불 확산 예측 및 문자 발송
국립산림과학원 원명수 센터장은 “예측 시스템으로 영덕까지 확산되는 시나리오를 완전히 포착하지는 못했다”고 밝혔습니다.
산불 속도 비교 (공식 발표 기준)
2025 의성~영덕 산불 | 8.2km/h | 초속 27m |
2000 속초·고성 산불 | 5km/h | 초속 33m |
🔍 산림청의 향후 과제
- 위성 자료 실시간화: 현재는 하루 2회 → 향후 실시간 데이터 수집 필요
- 국산 위성 활용 확대: 차세대 산림 관측용 위성(2025년 이후 발사 예정) 도입 추진
- 산불 예측 알고리즘 고도화: 바람, 지형, 연료 조건 등을 반영한 AI 기반 모델 개선 필요
📌 팁: 강풍 속 산불, 왜 위험한가?
- 확산 거리 증가: 1시간에 5~8km 이동 가능
- 진화 난이도 상승: 진화 인력 접근 어려움
- 예측 오차 증가: 방향이 불규칙하게 바뀔 수 있음
💡 실생활 대비 팁
- 강풍 시 산 근처 접근 자제
- 문자 알림 수신 설정 확인
- 대피로 사전 숙지 및 가족과 공유
📝 본 정보는 매일경제, 연합뉴스, 산림청 공식 브리핑을 바탕으로 신뢰성 있게 구성되었습니다.
출처: 매일경제 김혜진 기자, 산림청 브리핑, 연합뉴스
열 탐지 데이터: 미국 S-NPP 위성, 산림청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
태풍급 서풍에 영덕까지 간 의성산불…산림청 “예측 못해” - 매일경제
산림청은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영덕까지 확산할 것을 미처 예측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. 산림청은 27일 오후 브리핑에서 ‘미국 가시적외선 이미지 센서(S-NPP위성) 열 탐지 결과’를 발표
www.mk.co.kr
'스마트한 세상 적응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론 머스크, 정부 행정에 개입하는 것 합법? 공무원 감축이 가져올 사회 파장? (0) | 2025.03.28 |
---|---|
현대차, 美 조지아 첨단 신공장 준공…트럼프 25% 관세 앞두고 전략적 ‘현지화’ (0) | 2025.03.27 |
경북 안동·청송·영양·영덕, 산불 피해로 ‘특별재난지역’ 추가 지정 (0) | 2025.03.27 |
SK하이닉스의 AI 메모리 솔루션 전망 (1) | 2025.03.17 |
엔비디아 GTC 2025에서 발표될 AI 반도체 기술 (1) | 2025.03.17 |